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716)
사타포트 이래저래 몇 번인지 줄 몰라서~ 저번 주에 도착한게 pm981a가 와서 설치하게 되었는데 시간이 많이 나지 않아서 주말에 바둥바둥 설치하고 기존에 사용하던 SSD 홈에 돼 버리고 윈도우랑 게임 기타 설치할 거 다 하고 새벽 좀 되어서 마무리하게 되었네요. 이상하게 이게 시간이 오래 걸릴 것 만한 작업이 아닌 것 같은데 나름대로 시간이 오래 걸릴 것 같아서 미안하게 생각 했는데 아무래도 컴퓨터 관련 지식이 없다 보니까 조금 애매한 부분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pm981a 있는 발열이 그리고 방열판 설치해서 관련된 정보들도 모아 봐야 하는데 이제 윈도우 10 폴더 다른하드로 옮기고 오버프로비저닝이랑 남은 램 용량을 캐시로 돌리면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부분도 있고 아직 구간 W 블랙 1테라 와서 설치하다가 기존의 SSD 부팅 왼쪽 먹었던 ..
어차피 abode 요거는 6코아 넘어가면 요즘은 날씨가 많이 추워지는 것 같네요. 아무튼 관련해서 이야기하는 건 아니고 가끔 3D 렌더링 같은 경우 그래픽카드 성능에 영향을 많이 끼치기도 않는다 답답하기는 아무래도 어려운 부분도 있고 어느 정도 만족감을 원하는지 모르겠지만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픽카드가 어려운부분 얘기도 할 것 같은데 그래픽카드를 관해서는 좀 더 알아봐야 하는 부분도 있는 거지요. 작업이 역시 코어 수많은 라이젠으로 생각하게 되는 것도 있고 어차피 abode 요거는 6코아 넘어가면 다 사용하지 못 하는데 10세대 6코어짜리 CPU 메모리 32기가 설치 하는 것도 있고 그래픽카드 장착 유무가 중요한 거지 높은 그래픽카드는 필요치 않습니다. 그러니까 가지고 있는 CPU 메모리가 메인보드 중고로 내놓거나 10세대 C..
예를 들어서 이전에 i5 시스템이라면 4코어! 본체만 기준으로 비교해본다면 발전되어가는 부분도 있지만 AMD 라이젠 나오면서 인텔도 코어수 경쟁체제에 진입 할 수 밖에 없어서 코어수가 50% 늘어났는데 그게 8세대 쉬우니까 1년 전이라고 볼 수 있겠지요. 2016년 i3 하이파이브 시스템을 맞췄다면 편하게 생각해 보면 되는 부분인데 예를 들어서 이전에 i5 시스템이라면 4코어 4스레드 i3 시스템이라면 리코더 4스레드 위해 올해는 i5 시스템이라면 6코어 6쓰레드 i3 시스템이라면 4코어 4스레드라고 볼 수 있지요. 그러니까 4년 전에 i5 시스템이라면 그 이후에 나오면 시스템에서는 i3랑 동급이라 봐도 무방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입니다. 성능이 아니라 아예 급 자체가 달라져서 특히 멀티 성능에서는 차이가 난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그게 아니라 두..
30대~40대남자성기능개선 및 발기력저하 강화 운동 요거는 중년남자들 성기능관련해서 집에서도 할만한 방법으로 나온거라고 보시면 될겁니다. 아무래도 좀 쉽게 드러내기에 쉽지 않는 고민인데 어떻게 해볼까! 생각하거나 할만한 방법을 찾아본다면 부담없이 해볼만한 운동솔루션 중 하나죠. 간단하게 어떤건지 살펴봅시다. 이성과의 또는 아내와의 잠자리가 걱정되거나 사정이 마음대로 조절되지 않아서 걱정되거나 자꾸만 주눅들게 되어서 또는 고추가 작아서, 감각이 예민해서 이런저런 원인으로 어떻게 좀 방법을 찾아보게 된기도 하고 그냥 놔두는 경우도 있는데 혼자 끙끙 앓지말고 본인공간에서도 충분히 해볼만한 방법이라고 보시면 될겁니다. 남자성기능저하로 고민하는 경우 성기동맥혈류 충전기로 하루 십여분정도 꾸준한 사용으로 거시기내의 혈액유입등을 개선하는데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CPU 점유율 또 40% 정도 올라가 있고 얼마전까지는 괜찮은데 요즘 들어서 영상 같은 거 보면은 조금 버벅거린다 느낌이 들 때가 있더라고요. 물론 아닌 것도 있지만 고화질 영상이라 그런가 싶은 생각도 들고 컴퓨터 사용 때문에 그런가 싶은 생각도 드는데 관련해서 좀 더 파악을 해 봐야 하는 부분도 있는 것 같습니다. 얼마 전에는 유튜브 보다가 한참 전엔 몰랐는데 얼마 정도 시간이 흐르고 다시 정도면은 유튜브 영상이 바로 바로 재생이 안 되고 멈춰버리고 버벅거리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CPU 점유율 또 40% 정도 올라가 있고 크롬 브라우저 닫았다가 사용하면 또 괜찮았다가 얼마 안 있으면 또 그러는 것도 있는데 무엇 때문에 그러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는 경우입니다. 크롬 요즘 버전으로 업데이트 이후 유튜브 문제가 생기는 컴퓨터가 있다고 이야기가 들리더..
사실 올리기 전에도 레지스트리 관련해서 일단 관련해서 문제가 없어 보이는 경우도 있는데 해 볼 만한 방법 모르는 안전하게 어느 정도 관련된 정보를 모아서 방법을 찾아 보는 거지요. 정책도구 이용해서 적용하는 것 같은데 아마 관련된 레지스트리 병합을 실행파일로 만든게 아닐까 싶기도 하고 실행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자체가 실행파일이라 그런지 받아 보려고 하니 윈도우 디펜더가 막히는 것도 있더라고요. 사실 올리기 전에도 레지스트리 관련해서 시도해 봤는데 안 되는 것도 있고 관련해서 힌트를 얻어 다시 시도해 봤더니 되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서버 컴퓨터는 한번에 대고 메인 컴퓨터는 안 되고 레지스트리가 안되면 sysinternal 만든 autologon 툴이라는게 있는데 관련해서 한번 알아 보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설정에서 로그인 옵션 들어..
1테라 2테라 이하에서 용량을 우선적으로~ sata 영향을 하는 거랑 SSD m.2 nvme 방식으로 SSD 속도가 거의 몇 배 정도 차이 나는게 느껴지는지 모르겠지만 메인보드가 b450m에서도 m.2 nvme 한 개 정도 깨울 수 있는데 sata m.2 중 어느 것이 나을지 생각해 보게 되는 경우들이 가끔 있지요. 일반적으로 SSD nvme SSD 차이가 된다고 보기는 어떨지는 사용해 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스펙상으로 속도는 몇 개 차이 난다고 해서 질적 그만큼 차이가 느껴질 수 있는 건 아닐 수도 있을 거라는 생각도 듭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할건지 개인용으로 그 기준에 따라 HD 와 SSD 성능 향상에 비하면 SSD 성능 차이는 어느정도 적 없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느껴지는 부분이 있습니다. ssd가 내 대용량 파일을 옮기거나 작업하는..
생각해보면 게임 할 거면 인텔 쪽으로 간단하게 게임 같은 거하고나 무슨 작업할 때 사용하는 것 정도 용도를 구분해 보게 되는데 여유가 있다면 나는 아무래도 사람들이 낮에는 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구성이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게임용으로 무조건 인텔 10900k 가서 오버해 죽으려면 1000까지 오버 하는 거고 작업용 무조건 암드 3950x 생각해 보게 되는 건 아닌 것 같더라고요. 아무래도 그렇게 해 보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기 때문에 참고 정도로 해 보는 것 같고 슬슬 컴퓨터 교체할 시기가 와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6세대 인테리어 다 보니까 영상 같은 거 비교해보면 며칠 동안 알아 보게 되는 정보들도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생각해보면 게임 할 거면 인텔 쪽으로 생각해 보고 그 중에서도 2070 Super 조합이 괜찮게 생각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