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190)
어차피 abode 요거는 6코아 넘어가면 요즘은 날씨가 많이 추워지는 것 같네요. 아무튼 관련해서 이야기하는 건 아니고 가끔 3D 렌더링 같은 경우 그래픽카드 성능에 영향을 많이 끼치기도 않는다 답답하기는 아무래도 어려운 부분도 있고 어느 정도 만족감을 원하는지 모르겠지만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픽카드가 어려운부분 얘기도 할 것 같은데 그래픽카드를 관해서는 좀 더 알아봐야 하는 부분도 있는 거지요. 작업이 역시 코어 수많은 라이젠으로 생각하게 되는 것도 있고 어차피 abode 요거는 6코아 넘어가면 다 사용하지 못 하는데 10세대 6코어짜리 CPU 메모리 32기가 설치 하는 것도 있고 그래픽카드 장착 유무가 중요한 거지 높은 그래픽카드는 필요치 않습니다. 그러니까 가지고 있는 CPU 메모리가 메인보드 중고로 내놓거나 10세대 C..
예를 들어서 이전에 i5 시스템이라면 4코어! 본체만 기준으로 비교해본다면 발전되어가는 부분도 있지만 AMD 라이젠 나오면서 인텔도 코어수 경쟁체제에 진입 할 수 밖에 없어서 코어수가 50% 늘어났는데 그게 8세대 쉬우니까 1년 전이라고 볼 수 있겠지요. 2016년 i3 하이파이브 시스템을 맞췄다면 편하게 생각해 보면 되는 부분인데 예를 들어서 이전에 i5 시스템이라면 4코어 4스레드 i3 시스템이라면 리코더 4스레드 위해 올해는 i5 시스템이라면 6코어 6쓰레드 i3 시스템이라면 4코어 4스레드라고 볼 수 있지요. 그러니까 4년 전에 i5 시스템이라면 그 이후에 나오면 시스템에서는 i3랑 동급이라 봐도 무방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입니다. 성능이 아니라 아예 급 자체가 달라져서 특히 멀티 성능에서는 차이가 난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그게 아니라 두..
CPU 점유율 또 40% 정도 올라가 있고 얼마전까지는 괜찮은데 요즘 들어서 영상 같은 거 보면은 조금 버벅거린다 느낌이 들 때가 있더라고요. 물론 아닌 것도 있지만 고화질 영상이라 그런가 싶은 생각도 들고 컴퓨터 사용 때문에 그런가 싶은 생각도 드는데 관련해서 좀 더 파악을 해 봐야 하는 부분도 있는 것 같습니다. 얼마 전에는 유튜브 보다가 한참 전엔 몰랐는데 얼마 정도 시간이 흐르고 다시 정도면은 유튜브 영상이 바로 바로 재생이 안 되고 멈춰버리고 버벅거리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CPU 점유율 또 40% 정도 올라가 있고 크롬 브라우저 닫았다가 사용하면 또 괜찮았다가 얼마 안 있으면 또 그러는 것도 있는데 무엇 때문에 그러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는 경우입니다. 크롬 요즘 버전으로 업데이트 이후 유튜브 문제가 생기는 컴퓨터가 있다고 이야기가 들리더..
사실 올리기 전에도 레지스트리 관련해서 일단 관련해서 문제가 없어 보이는 경우도 있는데 해 볼 만한 방법 모르는 안전하게 어느 정도 관련된 정보를 모아서 방법을 찾아 보는 거지요. 정책도구 이용해서 적용하는 것 같은데 아마 관련된 레지스트리 병합을 실행파일로 만든게 아닐까 싶기도 하고 실행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자체가 실행파일이라 그런지 받아 보려고 하니 윈도우 디펜더가 막히는 것도 있더라고요. 사실 올리기 전에도 레지스트리 관련해서 시도해 봤는데 안 되는 것도 있고 관련해서 힌트를 얻어 다시 시도해 봤더니 되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서버 컴퓨터는 한번에 대고 메인 컴퓨터는 안 되고 레지스트리가 안되면 sysinternal 만든 autologon 툴이라는게 있는데 관련해서 한번 알아 보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설정에서 로그인 옵션 들어..
1테라 2테라 이하에서 용량을 우선적으로~ sata 영향을 하는 거랑 SSD m.2 nvme 방식으로 SSD 속도가 거의 몇 배 정도 차이 나는게 느껴지는지 모르겠지만 메인보드가 b450m에서도 m.2 nvme 한 개 정도 깨울 수 있는데 sata m.2 중 어느 것이 나을지 생각해 보게 되는 경우들이 가끔 있지요. 일반적으로 SSD nvme SSD 차이가 된다고 보기는 어떨지는 사용해 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스펙상으로 속도는 몇 개 차이 난다고 해서 질적 그만큼 차이가 느껴질 수 있는 건 아닐 수도 있을 거라는 생각도 듭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할건지 개인용으로 그 기준에 따라 HD 와 SSD 성능 향상에 비하면 SSD 성능 차이는 어느정도 적 없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느껴지는 부분이 있습니다. ssd가 내 대용량 파일을 옮기거나 작업하는..
생각해보면 게임 할 거면 인텔 쪽으로 간단하게 게임 같은 거하고나 무슨 작업할 때 사용하는 것 정도 용도를 구분해 보게 되는데 여유가 있다면 나는 아무래도 사람들이 낮에는 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구성이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게임용으로 무조건 인텔 10900k 가서 오버해 죽으려면 1000까지 오버 하는 거고 작업용 무조건 암드 3950x 생각해 보게 되는 건 아닌 것 같더라고요. 아무래도 그렇게 해 보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기 때문에 참고 정도로 해 보는 것 같고 슬슬 컴퓨터 교체할 시기가 와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6세대 인테리어 다 보니까 영상 같은 거 비교해보면 며칠 동안 알아 보게 되는 정보들도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생각해보면 게임 할 거면 인텔 쪽으로 생각해 보고 그 중에서도 2070 Super 조합이 괜찮게 생각 되..
게임 안 하는데 그래픽카드 2080 슈퍼로 간다는게 게임 안 하는데 그래픽카드 2080 슈퍼로 간다는게 대단한 것 같은데 슈퍼 배드 어느정도 세이브 될 텐데 그렇게 그래픽카드 감성과는 별 상관 없을 때 고사양이나 게임 안 하면은 잘해봐 영상 보는게 좀 보일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플루이드모션 돌릴 겸 라데온 570 이즈 더 자고 넘칠 것 같은데 차라리 모니터 쪽으로 좀 돌려 쓰면 어떨까 싶은데 생각도 드네요. 처음에는 2070 Super 쪽으로 결정했다고 한번 사면 오래 쓰는 스타일이라서 이왕이면은 좀 더 보태서 그렇게까지 하는 생각으로 Super 쪽으로 결정하게 되었네요. 컴퓨터에 기초적인 지식이 많이 없어서 무조건 비싼게 좋은 거라는 생각에 무리하게 되는 부분도 있는 것 같습니다. 약간 후에 되는 것도 있지만 라이트하게 사용하는 유저 2070 Sup..
바탕화면 아이콘들이 마음대로 옮겨져서 몇 년도 됐는지 한번 계산해 보니까 7, 8년 정도 된 것 같더라구요. 아무래도 3세대 i5 3570 정도 되는 걸로 장만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지금까지도 별 이상 없이 잘 사용하고 있긴 한데 게임용으로 PC 따로 한번 생각해 보게 되고 서핑이나 영상편집 인코딩 등 멀티태스킹 할 때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9세대 옥타코어 나오는 거 보고 멀티태스킹이 원활하게 질 것 같고 인코딩 속도 좀 빨라질 것 같아서 관심이 갔었는데 그때는 초기여서 뭔가 좀 부담 되는 것도 있어서 요즘은 우연히 10세대 i5 10400 이리저리 알아봤는데 몇 개 정도 빠른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아무래도 교체 쪽으로 한번 생각해 볼까 싶기도 하고 메인보드 원래 오버를 안 하는 쪽이라서 h470 쪽으로 알아봤는데 개인적으로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