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190) 썸네일형 리스트형 요즘 키보드 한번 교체해 볼까 생각 됨 요즘은 디자인이나 제품 취향에 따라서 어떻게 가는 것도 있지만 만족을 느낀다면 괜찮지만 키보드같은경우 독수리 타법으로 두드릴때 안방이나 관련해서 가만히 보면 키감에 대해서 좀 다르게 느껴지는 부분도 있더라구요. 키보드 관련해서는 아무래도 다양하게 알아봐야하는 부분만큼 내가 사용하는 키보드가 오래 사용했다면 거기에 맞춰서 익숙해져 있을 거고 그렇지 않다면 다른 키보드 알아보기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요즘은 기계식 키보드가 많이 사용하는 것 같은데 청축 같은 경우 소리가 좀 나는 것도 있어서 다른 추억을 사용하게 되는 것도 있고 멤브레인 키보드가 좋다고 해서 엠브레인 키보드 계속 사용하는 것도 있더라고요. 어떤 키보드를 사용하는 나는 본인이 결정하면 되고 잘 사용하다 보면은 익숙함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 같기.. 옵션이 메모리이 갈 때랑 12기가 갈 때 얼마 전에 메모리 8기가 2개 ddr3 8gb 있는데 하나 추가해서 메모리가 10기가 정도 됩니다. 그리고 나서 게임을 플레이 하게 되었는데 메모리 2기가 일대는 FPS가 123 나오던 메모리추가 하더니 또 피어스가 50가지 떨어지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이게 무슨 문제가 있나 싶은 생각도 되는데 어떤 부분을 점검지 한번 참고 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새로 장착한 메모리는 오류가 없는 걸리는지 확인해 보고 2기가를 빼보고 아마 클럭이 낮은이기 갈 것 같은데 그것 때문에 자동으로 클럭다운 되어서 오류 더 쓸 수도 있고 8기가만 사용해보고 메인보드 저가용 보드 라면 메모리가 내 오류가 생길 수도 있을 겁니다. 일단 브랜드의 메인보드 쪽으로 참고해 보고 cpu-z 하는 받아서 실행해보고 메모리 부분 확인해 봐야.. 모니터가 플루이드모션 소프트웨어로 설정까지 간만에 사무용으로 한번 목록을 뽑아 보게되는데 게임은 자라나게 되고 24인치 모니터 정도로 사무용으로 저거나 영화 같은 거 볼 때 한번 사용해 볼까 싶은 생각입니다. 용도가 게임 2급 높은 성령능의 CPU가 필요한 것도 아니고 다른 부품 선택지가 없는 것도 아닌데 내장그래픽없는 CPU 에다가 지포스 710 끼워서 구정에 보는 것도 있더라고요. 내장 그래픽 지포스 702 집에서 739 라이젠 내장그래픽 지포스 750에서 1030 급 정도 말입니다. 아무래도 2코어 4스레드 CPU 인텔 내장그래픽 구성 하면 될 것 같고 조금 더 높인다면 4코어 트레드 CPU 인텔 i3 10세대 이렇게 고생하는 것도 있을 겁니다 사무용에 영화감상 하는 거라면 CPU 내장 그래픽 성능 둘 다 괜찮아 나의 하고 프리싱크 지원해 .. 그래픽카드 성능으로 게임으로는 라데온 570정도 요즘 들어서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하기 되는 경우가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컴퓨터 관련해서 좀 알아 본다고 이래저래 부탁하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 어떻게 진행이 되는지 한번 이야기해 보게 되는 것도 있더라고요. 아무래도 컴퓨터 조립 하는 거 예 대한 구성에 관한 거에 질문하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 잘 모른다면 물어 봐야 하는 거겠죠. 인텔 같은 경우 오버클럭 고생하는 거 아니면은 어차피 메모리 쪽으로 인식하는게 한 개라고 클럭 메모리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까 싶은 생각도 듭니다. 그래픽카드는 1030 정도 게임용 카드는 아닌데 amd3200g 나 3400g 내장용 그래픽카드 성능으로 게임으로는 라데온 570 4기 가정도 선택해 주면 될 것 같습니다. 케이스나 파워 같은 경우도 그것도 조금 차액을 생각해서 만.. 닫힌 공간이라 공유기 쿨링도 제대로 못 할 듯 스위치허브 연결하는 작업이 지울 것 같은데 아무래도 그 걸로 결정 하게 되었고 현재 공유기 장난해 놓은 것 단자함에 놓고 연결해서 사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현재 방 몇 개 연결된 선이 다 빼고 내일 노력한 액자 만들어서 공유기 wan 포트 연결 하고 공유기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포트에서 사용할 각방으로 연결하면 될 겁니다. 공유기 전원을 연결하면 마무리 되는 거죠. 단자함에 공유기 넣으면 무선 와이파이 신호가 단자함을 듣고 나오면 신호가 약해집니다. 거기에다가 닫힌 공간이라 공유기 쿨링도 제대로 못 할 것 같고 그래서 허브를 사용하는게 보통인데 이것도 위쪽에 IP를 할당해주는게 좋고 집으로 IP를 하나 줄지는 모르겠지만 그래서 허그를 사용하는게 보통인데 이것도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여러 개 줄지 모.. 다른 공유기에서 첫 번째~ 네 번째 포트 중에 이상하게 와이파이 하나 공유기가 있어서 이걸로 계속 사용하고 있었는데 방에 있어서 밖으로 나와서 와이파이가 잘 안 잡혀서 다른 걸로 가게 되었네요. 거실에 놓고 건물 전체에 한번 와이파이존을 만들어 볼까 싶은 생각도 들지만 잘 모르다 보니까 쉽게 접근할 부분은 아닌 것 같고 궁금해하는 부분이 집안에서 들어오면은 메인 랜선이 아니라 kt에서 연결되는 랜선을 꼽아도 무선 와이파이가 되고 다른 공유기에서 유선으로 나눌 수 있는 건지 알아 봐야 하는 부분도 있겠지요. KT 메인보드 재미있을 건데 100메가 단품을 경우 없앨 수 있지만 모뎀에서 사설 공유기 연결 하면은 사용이 가능한 부분도 있습니다. 다른 공유기에서 첫 번째~ 네 번째 포트 중에 유선 연결 사용 가능하고 대신에 와이파이 공유기에서 와이파이로 유선.. 사타선 빼고 연결하고 드라이버 깔지 않고! 요즘에 사무실에 컴퓨터랑 똑같은 원인이 생기는 경우도 있는데 원인이 무엇인지 모르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물론 안 나타나는 부분도 있고 i3 2100 오래된 cpu 란 그런 건가 싶은 생각도 드는데 아마도 메인보드 바이오스 와 연관이 있지 않나!라고 생각되기도 합니다. 모든 USB 다 제거하고 다시 부팅 해보고 키보드 마우스 기타 usb 허브 나 USB 메모리 등등 모두 USB 몽땅 빼고 부팅을 시도해 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지금은 내장그래픽으로 전환했는데 딜레이없이 정상적으로 바로 부팅이 되고 그 전에 달려 있던 지포스 그래픽 카드도 uefi 미지원 모델 이더라고요. 아마도 그게 원인인가 싶은데 다른 걸로 바꾸는게 없다 보니까 확인은 못 해 보고 있습니다. 지금 메인보드 부팅이 수가 있었던 모델도 있기 .. 사타포트 이래저래 몇 번인지 줄 몰라서~ 저번 주에 도착한게 pm981a가 와서 설치하게 되었는데 시간이 많이 나지 않아서 주말에 바둥바둥 설치하고 기존에 사용하던 SSD 홈에 돼 버리고 윈도우랑 게임 기타 설치할 거 다 하고 새벽 좀 되어서 마무리하게 되었네요. 이상하게 이게 시간이 오래 걸릴 것 만한 작업이 아닌 것 같은데 나름대로 시간이 오래 걸릴 것 같아서 미안하게 생각 했는데 아무래도 컴퓨터 관련 지식이 없다 보니까 조금 애매한 부분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pm981a 있는 발열이 그리고 방열판 설치해서 관련된 정보들도 모아 봐야 하는데 이제 윈도우 10 폴더 다른하드로 옮기고 오버프로비저닝이랑 남은 램 용량을 캐시로 돌리면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부분도 있고 아직 구간 W 블랙 1테라 와서 설치하다가 기존의 SSD 부팅 왼쪽 먹었던 .. 이전 1 2 3 4 5 ··· 24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