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716)
모니터가 플루이드모션 소프트웨어로 설정까지 간만에 사무용으로 한번 목록을 뽑아 보게되는데 게임은 자라나게 되고 24인치 모니터 정도로 사무용으로 저거나 영화 같은 거 볼 때 한번 사용해 볼까 싶은 생각입니다. 용도가 게임 2급 높은 성령능의 CPU가 필요한 것도 아니고 다른 부품 선택지가 없는 것도 아닌데 내장그래픽없는 CPU 에다가 지포스 710 끼워서 구정에 보는 것도 있더라고요. 내장 그래픽 지포스 702 집에서 739 라이젠 내장그래픽 지포스 750에서 1030 급 정도 말입니다. 아무래도 2코어 4스레드 CPU 인텔 내장그래픽 구성 하면 될 것 같고 조금 더 높인다면 4코어 트레드 CPU 인텔 i3 10세대 이렇게 고생하는 것도 있을 겁니다 사무용에 영화감상 하는 거라면 CPU 내장 그래픽 성능 둘 다 괜찮아 나의 하고 프리싱크 지원해 ..
그래픽카드 성능으로 게임으로는 라데온 570정도 요즘 들어서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하기 되는 경우가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컴퓨터 관련해서 좀 알아 본다고 이래저래 부탁하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 어떻게 진행이 되는지 한번 이야기해 보게 되는 것도 있더라고요. 아무래도 컴퓨터 조립 하는 거 예 대한 구성에 관한 거에 질문하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 잘 모른다면 물어 봐야 하는 거겠죠. 인텔 같은 경우 오버클럭 고생하는 거 아니면은 어차피 메모리 쪽으로 인식하는게 한 개라고 클럭 메모리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까 싶은 생각도 듭니다. 그래픽카드는 1030 정도 게임용 카드는 아닌데 amd3200g 나 3400g 내장용 그래픽카드 성능으로 게임으로는 라데온 570 4기 가정도 선택해 주면 될 것 같습니다. 케이스나 파워 같은 경우도 그것도 조금 차액을 생각해서 만..
비율로 평면이 보기 좋아서 와이드 형식으로! 요번에 모니터 한번 생각해 보다가 몇인지 갈까 이래저래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알아 보게 되었네요. 결국은 34인치 컴퓨터 모니터로 가게 되었는데 내구성 관련해서는 사용해보면서 차 알아봐야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사용한지 얼마 되지 않았다 보니까 어떻게 사용할지는 지켜봐야하는 부분이라고 생각되더라구요. 개인적으로 커버되는 사용해 보지 않았지만 안 좋다느니 아기도 많이 있고 일단 은서 본다는게 우선인 것 같습니다. 본인이 만족에서 사용하는 거라면 아무래도 일방적인 비율로 평면이 보기 좋아서 와이드 형식으로 커브드가 보기편한 의견이 커브드 만드는게 아닐 거라고 생각 되는 부분도 있더라구요. 이사 갈 때 커버도 좀 위험하긴 하지만 그래도 말곤 딱히 위험한지 모르겠고 바닥으로 잘 처리 되어 있어서 예전에 27인..
닫힌 공간이라 공유기 쿨링도 제대로 못 할 듯 스위치허브 연결하는 작업이 지울 것 같은데 아무래도 그 걸로 결정 하게 되었고 현재 공유기 장난해 놓은 것 단자함에 놓고 연결해서 사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현재 방 몇 개 연결된 선이 다 빼고 내일 노력한 액자 만들어서 공유기 wan 포트 연결 하고 공유기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포트에서 사용할 각방으로 연결하면 될 겁니다. 공유기 전원을 연결하면 마무리 되는 거죠. 단자함에 공유기 넣으면 무선 와이파이 신호가 단자함을 듣고 나오면 신호가 약해집니다. 거기에다가 닫힌 공간이라 공유기 쿨링도 제대로 못 할 것 같고 그래서 허브를 사용하는게 보통인데 이것도 위쪽에 IP를 할당해주는게 좋고 집으로 IP를 하나 줄지는 모르겠지만 그래서 허그를 사용하는게 보통인데 이것도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여러 개 줄지 모..
경남제약 컷앤컷가격대관련(더블,돌외) 두두둥~~ 요즘 집생활만 하는 경우가 많죠. 아무래도 아직까지는 야외활동에 눈치가 보이는 시기인만큼 집안에서도 할 수 있는 운동이 있다면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꾸준하게 운동을 해주면 좋은데 그게 말처럼 쉽지가 않죠. 아무튼 집에만 있다보니 더 늘어나는 무게 조금이나마 줄여보자고 노력하게 되는데 나름대로 방법을 찾아보게 될겁니다. 물론 쉽지가 않죠. 왜냐면 항상 반복되는 고민이기때문인데 물론 실패하는 경우가 많기도 하죠. 먹는거는 제때 챙겨먹어야가며 하는게 좋다는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왜냐면 오히려 안좋은 영향이 더 크기때문인데 무리할 필요는 없죠. 이래저래 도움될만한거 찾아본다면 컷앤컷도 챙겨볼만할겁니다. 이게 뭘까! 이름들어보면 대충 느낌이 오죠. 일단 중요한건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어떤 성분이 들어..
다른 공유기에서 첫 번째~ 네 번째 포트 중에 이상하게 와이파이 하나 공유기가 있어서 이걸로 계속 사용하고 있었는데 방에 있어서 밖으로 나와서 와이파이가 잘 안 잡혀서 다른 걸로 가게 되었네요. 거실에 놓고 건물 전체에 한번 와이파이존을 만들어 볼까 싶은 생각도 들지만 잘 모르다 보니까 쉽게 접근할 부분은 아닌 것 같고 궁금해하는 부분이 집안에서 들어오면은 메인 랜선이 아니라 kt에서 연결되는 랜선을 꼽아도 무선 와이파이가 되고 다른 공유기에서 유선으로 나눌 수 있는 건지 알아 봐야 하는 부분도 있겠지요. KT 메인보드 재미있을 건데 100메가 단품을 경우 없앨 수 있지만 모뎀에서 사설 공유기 연결 하면은 사용이 가능한 부분도 있습니다. 다른 공유기에서 첫 번째~ 네 번째 포트 중에 유선 연결 사용 가능하고 대신에 와이파이 공유기에서 와이파이로 유선..
계정폴더가 있다면 단순히 로그인이 잘못되어서! 이상하게 윈도우를 사용하고 있는데 바탕화면은 몇 달 전에 포맷하고나서 상태가 변경 되는 것도 있고 작업표시줄을 그리고 시작 프로그램 등등 사라져버리게 된 것 같은데 쉽게 얘기해서 초기화 되어 버린 것 같더라고요. 개인이 설정한 파일만 사라졌는데 내 사진 내 문자 등등 여러가지 프로그램들도 기본 설정으로 되어 있고 어떻게 한번 테스트를 하고 점검을 해 봐야 하는 부분입니다. c 드라이브에 사용자 폴더 가서 정상적인 로그인 계정 폴더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 계정명 폴더가 있다면은 현재 접속중인 상태에서 로그아웃을 해서 확인해서 해당계정에 뜨는지 확인해 봐야 할 겁니다. 계정폴더가 있다면 단순히 로그인이 잘못되어 그럴 수도 있고 동일한 현상이 있었는데 다른 경우엔 강제 재부팅 하니까 전부터 살아나는 것도 있었는..
사타선 빼고 연결하고 드라이버 깔지 않고! 요즘에 사무실에 컴퓨터랑 똑같은 원인이 생기는 경우도 있는데 원인이 무엇인지 모르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물론 안 나타나는 부분도 있고 i3 2100 오래된 cpu 란 그런 건가 싶은 생각도 드는데 아마도 메인보드 바이오스 와 연관이 있지 않나!라고 생각되기도 합니다. 모든 USB 다 제거하고 다시 부팅 해보고 키보드 마우스 기타 usb 허브 나 USB 메모리 등등 모두 USB 몽땅 빼고 부팅을 시도해 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지금은 내장그래픽으로 전환했는데 딜레이없이 정상적으로 바로 부팅이 되고 그 전에 달려 있던 지포스 그래픽 카드도 uefi 미지원 모델 이더라고요. 아마도 그게 원인인가 싶은데 다른 걸로 바꾸는게 없다 보니까 확인은 못 해 보고 있습니다. 지금 메인보드 부팅이 수가 있었던 모델도 있기 ..